본문 바로가기
728x90

네트워크 수업/정보통신10

A~E클래스 23.02.13 127로 시작하는 모든것 loofback주소 컴퓨터 주소 127.0.0.1 0으로 시작하는것도 안쓴다. A클래스는 첫번째거 0 으로 고정 B는 10 C는 110 D는 1110 E는 1111 Network = 1 (쓸수없는것. 고정값) Host = 0 (쓸수있는것) SM(서브넷 마스크) 11111111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1/8의 뜻 1의 갯수가 8개이다. 1로 시작하는 모든것. 1.0.0.1~1.255.255.254를 가리키는 범위임. 0세개 255세개를 못쓰니까 = 프리픽스(Prefix)방식) ex) IP 000000001.000000001.000000001.000000001 SM이 2bit가 갔다 11111111 | 11000000 . 00000000 .000.. 2023. 2. 13.
[정보통신]09.TCP_IP1 23.02.13 23.02.17 tcp는 4계층(전송, transport) 프로토콜, 흐름제어한다. 포트번호로 프로그램을 식별한다. udp도 4계층 프로토콜, 흐름제어 안한다. 종단간 확인을 tcp가 하고 ack가 간거에 두배씩 윈도우사이즈가 한다. 물리주소는 16진수가 12자리(리눅스 xxxx.xxxx.xxxx, 윈도우 MS계열에서는 xx-xx-xx-xx...) 통신은 논리주소. 내부외부로 통신한다. 501호 3번 - 아이피(논리주소) 홍길동 - MAC(물리주소) = 고유명사(딱 하나밖에 없다) 결국 통신은 ip가아니라 mac주소로 한다. Media Access Control = MAC = 물리적주소 = 랜카드의 이름,고유명사 x x x x . x x || x x . x x x x 16진수 OUI S/N (회사고유번호) (시리얼넘버 .. 2023. 2. 13.
[정보통신]08.OSI참조모델 23.02.16 OSI 참조모델이란? 데이터통신 과정을 7계층으로 나누어 표준화했다.(국제표준기구 IOS랑 헷갈리지말것) OSI(=Modular approach) 1계층~3계층은 사람이 개입할수있다. 4계층~8계층은 사람이 개입못함.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졌기때문 경계가 확실해야한다(어디로 음악이가서 어디로 재생이되고 어디로 나오는지) 캡슐화는 각 계층의 헤더를 추가하는 것이다. PDU ip data pci sdu(진짜 데이터) ip를 알아야 data가 갈수있다. H 붙은게 헤더 DU붙은게 DATA 무조건 암기 : 응용A-표현P-세션S-전송T-네트워크N-데이터링크D-물리P APSTNDP 라고 외우기 ★★★★★★★★★★ ◆응용계층 : 사용자가 네트워크망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사용자가 통신선로에 말을 해도 전송안.. 2023. 2. 13.
[정보통신]07.데이터통신기능2 23.02.16 전진, 후진오류정정 흐름, 오류제어 인터넷이 쓰는방법(후진오류정정 결정 연속적 go-back-n) 위성이 쓰는 방법 (전진오류정정 - why? 재전송하기 어렵기때문) 흐름제어 중 우리는 다중승낙을 쓴다. go-back-n중에서 후진오류정정 : 친구야 밥많이먹어 했는데 친구가 못들어서 "다시말해봐" 한게 후진오류정정이다. 재전송요청 전진오류정정 : 친구야 점심밥 많이 먹어. 라고 잘 못들을 것을 대비해 미리 다 말해주는것. 귀환오류제어 결정귀환 :오류가 났는지 안났는지를 받는 쪽(수신)에서 판단한다. ?:인터넷에서 이 방법을 쓴다.(TCP가 이런 역할을 한다.) 실시간은 잘못돼도 다시 오류를 재전송할 시간이 없다! 귀환오류제어 안쓰고 UDP(나중에배움)을 쓴다. 복합귀환 : 보냈는데 보내고나면 받는쪽에서 .. 2023. 2. 13.
[정보통신]06.데이터통신기능1 23.02.14 23.02.16 저번시간에 배운거 비동기가 동기보다 효율이 좋다. 동기는 앞에 syn을 두개이상붙인다 비동기는 앞뒤로 start purse를 붙인다. 인터넷은 비동기이다. 오동기 - 0.5인지 1인지 알수없다. 높은클록이 낮은클록에게 맞춰준다. 두지국이 한지국 클록에게 맞춰준다. 종속지국은 주지국에 동기화가 된다. 주지국=제어지국 주소지정 -명명(naming), 식별(identification) www.naver.com = 도메인 이름 (domain name) (↓이거 시험에 나온다.) Intermic이 domain 이름을 팔았다. IP등록을 IANA에서 하는데 회사 사라짐 결국 도메인 이름과 IP등록은 ICANN 에서 한다. http://223.130.200.107/(네이버의 포트넘버) 포트넘버(:~~)) port n.. 2023. 2. 13.
[정보통신]05.데이터통신요소3 23.02.14 중요 다중화기 역다중화기 집중화기 왼쪽이 돈많이듦.. 나중에 이거 할거임. 점대점, 멀티드롭 네트워크! 이더넷=>시분할 다중화이다. 다중화기 : A거 B거 C거 D거 차례대로 받는다. => 얘네 ABCD 4개 합한것보다 통신회선 속도가 더 커야한다. (시냇물 4개폭보다 강의 폭이 커야한다.) 역다중화기 : A거 B거 C거 D거 분리해서 반대편으로 간다. 프레임 : ABCD 한 그룹(대표적 예 : 이더넷스위치, 허브) 다중화의 반대는 역다중화기. 컴퓨터 신호가 이더넷에 연결된 선을 타고 나간다. AM , FA 의 주파수 범위가 정해져있다. ★집중화기★ 시냇물의 속도가 강의 속도보다 커도 된다. 자유통신=더미터미널(요즘엔 안씀 다 옛날얘기) 제어통신 = cpu가 있는 단말기 2023. 2. 13.
[정보통신]04.데이터통신요소2 23.02.13 예: 전화 성형 네트워크 : 중앙컴퓨터나 허브가 망가지면 모든 네트워크 마비됨 멀티드롭 선로 : 선하나에 주렁주렁 매달리는 방식 - 이것들을 제어할수있는 별도의 언어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멀티드롭선로는 계약 조건에 따라 강제적 제약을 받는다 성형 네트워크 의 대표 이더넷이다. 우리가 지금 교실에서 쓰고있는. 환형네트워크 의 대표 - 토큰링 점대점선로 : 스타형구조 2개의 통신경로(IBM에서 개발) = 환형네트워크 - 토큰링 동그랗게 안생겨도 논리적 알고리즘으로 논리적으로 돈다. 풀매쉬로 엮었을때 몇개인가? n(n-1)/2 공간분할 회선교환 - 휴대폰 옛날에 전화 다른곳으로 돌릴때 연결을 직접함 수동으로 = PSTN 지금은 자동으로 됨 축적교환은 저장장치에 저장했다가 보내준다. 중계선로를 선택한다. 축적교.. 2023. 2. 13.
[정보통신]03.데이터통신요소1 23.02.13 반이중전송 예 : 무전기, 외나무다리 병렬전송 예 (요이땅 하면 한번에 가는거)CPU와 메모리의 통신(64개 차로로 한번에 가는것) 직렬전송 예 : USB 반이중 전송 대표적 예 : 이더넷(Ethernet)(근거리 네트워크 기술이름) 전에 선생님컴퓨터로 자료 한번에 가져가려했을때 시간이 오래 걸린게 이런 이유. 근거리는 병렬이 가능한데, 원거리는 직렬로 갈 수 밖에 없다. 7비트짜리 아스키코드 동기를 왜 하느냐... 비트동기란? 송신측과 수신측이 같은 클록을 써야만한다. =4bps(클럭수가 높은쪽)이 2bps(낮은쪽에 맞추고서) 가야함 비트동기는 정중앙의 비트를 검출한다. [1]-0.25초-0.5초-[0] => 0.25초가 정중앙 문자동기란? 원하는 문자를 구성하는 방법 10101110110이 어디서부터.. 2023. 2. 13.
[정보통신]02.데이터통신기초1 23.02.07 08 10 통신의 3대요소 : 정보원 - 전송매체 - 수신체 coding.코딩에 대하여 인코딩과 디코딩 noise. 노이즈 노이즈가 꼈냐 안꼈냐에 따라 성능이 좌우된다. 쌤이 하는말이 부산까지 안간다. 그래서 변조를 하는것. 멀리까지 가게하기위해 변조를 하는것. ex) 전송신호 = 목소리 반송파 신호 = 목소리를 그릇에 담아 부산까지 ktx에 태워서 보내는것. = ktx 어떻게 보냄? 디지털 = 아날로그 = 브로드밴드 아날로그시그널=원신호 캐리어시그널=ktx 빨간색 오리지날시그널(원신호)이 노란색 ktx(캐리어시그널)를 가둔다 = 변조한다. ktx중 긴파동은 고주파, 짧은파동은 저주파. 결국 저주파는 소멸되고 고주파만 남게됨 그 고주파의 꼭지점들이 '포락점', 포락점을 다 이을때 '복조'라고 한다. 그렇게 되면 원.. 2023. 2. 7.
[정보통신]01.컴퓨터통신망의 소개 23.02.06 https://better-together.tistory.com/65 내 컴퓨터 ip찾기&만들기 윈도우+R → ncpa.cpl *cpl : 제어 덩어리 UNC 방식(쌤의 자료를 우리가 가져갈 수 있는 방식) 윈도우+R → \\10.5.1.100 아이디 : student 비번 : 1111 ======= *정보통신망 = 정보처리기술 + 통신기술 프로토콜로 통신하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쓰이는 프로토콜은 tcp/ip이다. 프로토콜이 불일치한다. 라고한다. tcp/ip(=suit=보따리) *분산시스템 우리는 강의를 받는 컴퓨터, 쌤컴퓨터는 강의를 하는 컴퓨터 = 분업 = 분산시스템 *강연결 분산시스템 가까이 있다. 내 컴퓨터 기판 안에 cpu와 메모리 사이도 강연결. 1m~수미터 *약연결 분산시스템 멀리 떨어져있.. 2023. 2.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