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tcp udp 는 헤더구조 암기해야한다.
sink포인트??
ipv4 데이터그램
>>첫번째줄 : 버전 / 헤더길이 / 서비스 유형 / 전체길이
헤더부분 20바이트
버전 4비트 (0100)
헤더길이 5비트 (0101) 5*32비트 = 160 나누기 8 =>20바이트(헤더포함) (최대 60바이트)
type of service
데이터는 request reply가 끝난다음에 간다.
2023.03.21 - [네트워크 수업] - QoS합본 (FromPDF).pdf 23.03.21 23.03.27
QoS
Prec의 숫자가 높을수록 계급이 높다(5까지 줄수있음)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 제어에 이용되며, TOS(Type of Service)필드 라고도 한다.(지금은 안쓴다)
D : Delay, 1로 설정 시 최소한의 지연으로 데이터 전송
T : Throughput(처리량) , 1로 설정 시 IP 라우터는 처리량이 가장 큰 경로로 데이터그램 전송
R : Reliability, 1로 설정 시 데이터그램 손실 없이 전송
C : Cost, 1로 설정시 데이터가 최소 비용으로 수신지에 전송(가장 적은 수의 라우터를 거침)
대신 DSCP을 쓴다.
DSCP는 CS,AF,EF로 나뉜다.
최고계급이 높은애는 EF권한 , DSCP 46
회장님전화기엔 클래스에 드롭가능성 낮은 애 01을 넣는다
>>두번째줄 : 식별자 / 플래스 / 단편 오프셋
식별자>>
패킷에 첫번째 오늘 바이트가 몇번째 바이트인지 알기위한 식별자이다.
패킷이 쪼개졌을때 다시 조각을 결합 하기위한 원래 데이터를 식별하려고 사용한다.
플래그>>
깃발.
첫번째 비트는 무조건 0이다. 두번째(MF=More Fragment), 세번째 비트는
세그먼트가 MTU보다 크면 쪼개진다.
쪼개지면 헤더 다음에 식별자가 붙는다.
MF는 자기뒤에 단편화 조각이 있냐 없냐를 뜻하는것.
1. 처음 1bit는 항상 0
2. May Fragment
0 - 분열가능
1 - 분열방지
3. More Fragment
0 - 마지막 조각
1 - 뒤에 더 있음
첫번째 단편1 001
두번째 단편2 001
세번째 단편3 000
>>세번째줄 : TTL / 프로토콜 / 헤더검사합
TTL
라우터 하나 건널때마다 하나씩 사라짐.
루프방지용
-프로토콜
패킷의 상위계층인 tcp udp 의 정체를 여기에 밝힌다.
1 - ICMP
2 - IGMP
6 - TCP
17 - UDP
-헤더 검사합
헤더 체크섬
=>보수를 더해서 오류 확인
>>여섯번째 줄
옵션과 패딩
대답 네 : 2byte
목적지와 출발지
mac주소는 48bits 6bytes
맥주소 14bytes
목적지mac + 출발지 mac + 데이터 + 프레임체크시퀀스 +
..>?
TCP,UDP는 process-to-process 4계층
IP는 host-to-host 3계층
2계층은 device-to-device node-to-node
udp와 tcp가 같이 있을때 udp가 tcp의 band width를 잠식한다.
UDP well known 포트번호
7 echo
53 nameserver
67 bootps
68 bootpc
69 tftp
는 꼭외우기
bootp=dhcp (dhcp는 67,68을쓴다.)
TCP세그먼트
2계층
목출출목 출목
mac 목출 | ip 출목 | portnumber 출목
*순서번호
Byte 단위로 순서화되는 번호로써 tcp 세그먼트의 첫번째 Byte 에 부여된다. 이것을 통해서 신뢰성 및 흐름제어(sliding window)기능을 제공한다.
*응답번호
수신하기를 기대하는 다음 Byte번호로써 마지막으로 수신에 성공한 번호+1 이다.
(해커는 이 순서번호와 응답번호를 조작한다)
메시지(응,표,세)가 쪼개진게 세그먼트(전송계층)
세그먼트(전송계층)가 분할된게 패킷(네트워크계층)
TCP연결
3-WAY handshaking
syn+ack가 간다.
종료할땐(얘도 3way handshaking)
ack+fin이 간다.
ICMP, IGMP
icmp 종류 15개
도달불가 destination unreachable 3번
라우팅되다가 인터페이스 셧다운되거나 가는경로 막혔을때 경로 재계산하라고 메시지 나오는 5번 redirect
0,3,5,8번은 외우기
0번은 에코가 갔다가 되돌아오는것.
224.0.0.7 은 rip
224.0.0.1 모든 호스트 및 라우터
224.0.0.2 모든 라우터
DHCP - DORA
DHCP = BOOTP (Bootstarp Protocol)
서버는 포트넘버 67번씀 = discover
그럼 68번은?
traceroute는 udp를 쓴다.
access를 조절하는것은? acl에서 udp 53번을 건드린다. 수업시간에도 막은적있음 (..? dns가 acl인가..)
sia summary
'네트워크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EIGRP default-route 23.04.04 (0) | 2023.04.04 |
---|---|
[리눅스] 23.03.31 (0) | 2023.03.31 |
[실습] EIGRP 부하분산(2) 23.03.29 (0) | 2023.03.29 |
[실습] EIGRP 부하분산 23.03.28 (0) | 2023.03.28 |
[실습] EIGRP와 RIP 23.03.27 (0) | 2023.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