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점 >>
SW4의 f1/4가 Block포트. PC1,2는 왼쪽으로만 돌게된다.
stp가 한쪽으로 vlan10, 20 두번 돌게 됨 매우 안좋음.
vlan10, 20이 전역에 퍼져있기 때문에 전역VLAN(=Global Vlan)이라고 한다.
stp가 2개 돎. v10한번 v20한번
원래대로라면 저 SW4의 f1/4가 Block된다.
v10은 왼쪽으로 v20은 오른쪽으로 가도록
브릿지 아이디, 뭔아이디, 뭔아이디 를 조정해보자
전구간이 트렁킹이 돼야 v10,20 둘다 통신된다.
//SW1이 루트가 된 이유 : 루프백이 있고 네트워크가 있기때문에 SW1이 루트가 될수밖에 없다.
방법1 : prioritiy를 수동으로 주기
vlan10과 20에 각각 priority를 0으로 준다. =>SW1을 루트로 고정시키기 위해
확장 priority
4bit priority | 12bit vlan-id
0000 0000 0000 0000 = 2^12 = 4096
0001 0000 0000 0000 = 2^13 = 8192
0010 ...
0011 ...
0100
0101
....
priority 값은 무조건 4096, 8192.. 값만 넣어줘야함. 중간값은 넣어 주면 안됨!!
SW2 에 spanning-tree vlan 20 priority 8192 // priority값을 우등하게 만들어줘서 vlan20이 여기로 통신되게 만든다.
(디폴트값 32768)
SW3에서도 마찬가지로
spanning-tree vlan 10 priority 8192 // priority 값을 우등하게 만들어줘서 vlan10이 여기로 통신되게 만든다.
SW4에서 각각 show span vlan 20 brief, show span vlan 10 brief해보면
vlan 20에서는 f1/4가 Block이, vlan 10에서는 f1/3이 Block된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부하분산을 시킨다!
PC1과 PC2로 Ping날려보면 각각 vlan숫자대로 날아가는걸 알수 있다!
방법 2 - priority 자동으로 받기
고정으로 하면 새 스위치의 priority가 0일수도있다. 매우 문제..
자동 Route를 뽑게 만듦!
각 스위치에 no spanning-tree vlan 20 pri 0 이런거 다 지워주기
SW1에서
spanning-tree vlan 10 root primary
spanning-tree vlan 20 root primary
둘다 우선순위 주기
자동으로 각각 8192로 줌 (디폴트값 32768)
SW2에선 spanning-tree vlan 10 root secondary
SW3에선 spanning-tree vlan 20 root secondary
SW4에서 vlan10과 20의 spanning-tree확인
=====
방법2 - cost값으로 다시 루트를 바꿔보기
근데 sw4에서 다시 vlan10과 20의 루트를 바꿔보자!
bridge id보다 우선인것 => cost
cost값을 낮게 줘서 우위를 바꿔보자
vlan10은 f1/4가 막히고
vlan20은 f1/3이 막힌것을 알수있다.
'네트워크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습] DHCP NAT WCM 23.03.08 22 (0) | 2023.03.08 |
---|---|
[실습] MHSRP 23.03.07 (0) | 2023.03.07 |
[실습] spanning tree 23.03.06 (0) | 2023.03.06 |
[실습] TRUNK , PVC 23.03.06 (0) | 2023.03.06 |
[실습] 23.03.03 (0) | 2023.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