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소프트웨어 시스템소프트웨어 유틸리티 운영체제는 상호관계가 있다.
사용자와 하드웨어는 동떨어져있다.
운영체제 없이는 컴퓨터가 안 돌아간다.
응용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ex. 회계프로그램)
업무용, 별도의 목적을 위해 제작된 프로그램 = 고객주문형
ALU → 산술, 논리연산, 참 거짓 판별
입출력
철수=CPU
책상에 있는 준비물 =메모리
책꽂이 = 하드디스크(명령어도 올라간다)
CPU는 메모리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하드디스크에서 책 몇 개 꺼내는 순간 다 다운된다.
메모리가 다 차면 하드디스크의 일부가 가상메모리를 만들어 빌려올 수 있다.
시스템속성 명령어 sysdm.cpl
가상메모리의 크기를 저렇게 지정할 수 있다.
하지만 가상메모리를 쓰는 건 임시메모리인 거라 보조기억장치의 속도로 나는 거라 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보통 가상메모리는 메모리의 두 배를 잡으면 된다.
메모리 보는 방법 ctrl+alt+del 작업관리자
cpu는 하드웨어 5대 장치에 없다.
주기억장치가 다 차고 가상메모리가 없으면 컴퓨터 다운될 것임
19세기에 찰스배비지인지 바비지인가 최초로 주기억장치가 도입된 계산기
20세기에 처음으로 컴퓨터가 나온 건 ABC임!! 시험에 ENIAC 말고 ABC 나오면 무조건 ABC임
최초의 진공관 컴퓨터는? ABC
주기억장치를 1945년에 폰노이만이 발표했는데
그걸 토대로 모리스가 EDSAC을 만듦
순서나열
ABC ENIAC EDSAC UNIVAC
*함정 : MARK1은 기계식! 계산기이다. 진공관이 아니다!
트랜지스터 트 트 트라딕
유니박 1은 진공관, 2는 트랜지스터
다음 중 1세대 컴퓨터는?2세대 컴터는? 이 문제에서 맞출 수 있다!
4004는 인텔에서 개발
2.90GHz=29억(1초에 29억번 요이땅한것)
29억X64비트(차로가 64개)=bit의 수나옴
bit결과값/8(영어가 8bit)
--cpu와 메모리를 지나다닐수있는 데이터의 총량--
CPU가 처리하는 외부버스 & 내부버스
외부버스 : CPU뒷면에 데이터가 다니는 길. 길의 수가 있다.
내부버스 : ALU 와 레지스터들 간의 데이터 이동을 위한 데이터 선, 제어 유닛으로 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 선들로 구성된 내부 버스
우리가 쓰는 내부버스는 64개다.
[CPU]
레지스터
|||||(내부버스)
캐시메모리 = ALU = 캐시메모리
||||||(내부버스)
컨트롤러
[CPU]
ㅁ
||||(외부버스,프론트) x 64 (1클럭에 64비트가 가는것)
[MCH](Memory Control Hub)
그래픽ㅡ ||||(외부버스) ㅡ(사이드) 메모리
[ICH](InputOutput Control Hub)
/ | \
키보드 마우스 HDD
CPU
ㅁ
|||| x 32
PCH
내부버스가 32비트였던것을 64비트로 늘림.
2005년에 64bit 64bit인것만 기억하자
FSB(Front Side Bus):프론트 외부버스와 사이드 외부버스 속도 비교. 단위가 MHZ다.
프론트버스=시스템버스
버스는 차로의 개수
쿨럭은 요이땅 개수
'네트워크 수업 >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웨어]실습 23.02.16 (0) | 2023.02.16 |
---|---|
[하드웨어] CPU 23.02.15 (0) | 2023.02.15 |
[하드웨어]GN3 -2 23.02.15 (0) | 2023.02.15 |
[하드웨어]GNS3 -1 23.02.14 (0) | 2023.02.15 |
[하드웨어]pc정비사-파일 시스템 23.02.09 (0) | 2023.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