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자료형
- 주석
- 변수
- int 와 byte. 그리고 두개를 같이 쓸 경우
- 연산자
- 문자열. 문자열과 값을 같이 쓸 경우
- 1일차 과제 수정
1. 자료형
자료형 System.out.println( 여기에 적는것 );
-정수 1234
-실수 3.14
-문자 'a'
'' ←그냥이렇게 쓰면 오류남 →0에해당하는 문자가있기때문에 오류. 존재하지 않은것임
-논리 true,false
-문자열 "문자열"---별도로
"" ←이렇게 해도 에러 안남
int - 4byte
---디폴트타입만 처리하도록 만들어져있음
기본자료형(Primitive Data Type)
논리형 : boolean
문자형 : char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 float, double
참조자료형(Reference Data Type)
2. 주석
//소스의 기본단위는 클래스임
//class 클래스명 {클래스 내용}
//자바는 객체지향이어서 명령이 뒤에 나와도 상관xx, 줄도 안바꿔도 됨.
//c언어는 무조건 순서대로 해야함.
//주석은 class파일(=실행파일) 용량에 영향xx
// ←한줄 주석
/*
여러줄 주석
*/
//용량의 영향을 미치는지 안미치는지의 <예제>
class Ex05{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현재 사이즈를 기억하세요."); } //main end } // class end ---주석을 잘 활용하기
3. 변수
자료타입을 받을수있는게 변수
변수를 쓸때는 그냥 abc로 쓰면 안됨.
어떤 목적으로 쓰는 변수인지 입력해야함.(알아보기좋게)
쓰면안되는 변수 빼고 쓰면됨.(차차 저절로 알게됨)
변수명에는 영문자,특수문자(_,$)로 시작할것
변수명에는 첫글자엔 숫자x, 중간에 포함은 o
변수명은 대소문자 구분함.(ex. Sum=/=sum)
예약어x
클래스명은 길어도 괜찮으니 자세하게쓸것
앞글자는 대문자로 쓸것(암묵적 약속)
상수의 이름 지켜줄것.관례임(ex. pi 등등)
<예제>
class Ex06{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변수는 값이 변할 수 있다.
변수 필수 조건 (이 2가지는 사용하기 이전에만 초기화하면 됨.)
1.자료형 변수명; ←변수의 선언
2.변수명=값 대입; ←변수의 초기화 */
// or
/*자료형 변수명=값;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 진행*/
/*자료형의 종류
1.기본자료형, 원시자료형
2.참조변수(굳이 자료형 이라고 부르진않음. 나중에 배움)
-문자형(char)
-십진수 정수형(byte,short,int,long)
-십진수 실수형(float, double)
-불린형(boolean) */
byte su1; //변수 선언
su1=127; //변수 초기화 -- byte는 128이상은 값 오류남
System.out.println(su1);
short su2=128;
System.out.println(su2);
int su3=1234;
System.out.println(su3);
long su4=1234; //=(long)1234 / 상수를 애초부터 long타입으로 작성하고싶으면 1234L로 작성
System.out.println(su4);
}
}
4. int 와 byte. 그리고 두개를 같이 쓸 경우
class Ex07{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su1; su1=100; //su1=su1+1; //얘는 byte su1; 이값은 오류남.(나머지 두개는 ㄱㅊ) 1은 int여서 // su1+=1; 3개 다 1씩 증가 //su1++; su1=100; System.out.println(++su1); /*byte 오류나는 코드 byte su1; byte su2; byte su3; su1=100; su2=2; su3=0; su3=su1+su2; System.out.println(su3); - 오류남. 이미 int값을 받고있기때문에 byte 랑 short는 쓸 일이 없다. */ } }
5. 연산자
<산술 연산자>
+ - * /
% 나머지값
++ ++1(=2)이랑 1++(=1)은 다름
--
<관계 연산자>
> >= < <= == (프로그램에서 =는 대입연산자임. a=5는 5를 a에 대입해주는것.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논리연산자>
and=&& or=|| not=!
//a+=5 랑 a=a+5는 같다
//<예제> class Ex08{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5; int b=2; System.out.println(a/b); //몫만 구해짐 System.out.println(a%b); //나머지만 구해짐 double c=5.0; int d=2; System.out.println(c/d); System.out.println(c%d);//실수와 정수만나면 실수값으로 나옴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a>b); //얘네는 boolean타입으로 받아서 System.out.println(a>=b);// ture나 false값으로 반환됨 System.out.println(a<=b); System.out.println(a==b); System.out.println(a!=b);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true && true); System.out.println(true && false); System.out.println(false && false); System.out.println(true || true); System.out.println(true || false); System.out.println(false || false);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true); System.out.println(!false); } }
6. 문자열. 문자열과 값을 같이 쓸 경우
class Ex09{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ja"+"va"); String st1="java"+1.8; System.out.println(st1); System.out.println("java"+1.8); //아래랑 위는 같은값 나옴 System.out.println(2000+20+"년"); //문자열이랑 있어도 먼저 값을 더한게 있어서 연산됨. 2020년 System.out.println("year"+2000+20);//문자열이랑 먼저나오면 전부 문자열처럼 나옴. year200020 System.out.println("year"+(2000+20));// ()로 우선순위를 높여주면 원하는 연산이 됨. year2020 } }
7. 1일차 과제 수정
<수정한부분- 변수명 수정, 합계에서 연산자랑 합침)
class homework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비트편의점");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상품\t|\t갯수 |\t가격 |\t 계"); System.out.println("--------------------------------------"); String pro1,pro2,pro3,pro4 = new String(); //상품 pro1="생수"; pro2="꼬깔콘"; pro3="커피"; pro4="아이스크림"; int num1,num2,num3,num4 = 0; //갯수 num1 = 3; num2 = 2; num3 = 4; num4 = 1; int pr1,pr2,pr3,pr4 = 0; //가격 pr1 = 900; pr2 = 1200; pr3 = 300; pr4 = 2500; System.out.println(pro1 + "\t\t"+num1+"\t" + pr1 + "\t"+ num1*pr1); System.out.println(pro2 + "\t\t"+num2+"\t" + pr2 + "\t" + num2*pr2); System.out.println(pro3 + "\t\t"+num3+"\t" + pr3 + "\t" + num3*pr3); System.out.println(pro4 + "\t"+num4+"\t" + pr4 +"\t"+ num4*pr4);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t\t합계\t\t"+(num1*pr1+num2*pr2+num3*pr3+num4*pr4)); System.out.println("--------------------------------------"); } }
'코딩 > 자바 기초특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06 FRI 자바기초특강 5 (0) | 2020.11.06 |
---|---|
20.11.05 THU 자바 기초특강 (0) | 2020.11.05 |
20.11.04 WED 3일차 과제 --11.05 THU 과제 피드백 (0) | 2020.11.04 |
20.11.04 WED 자바 기초특강 3 (0) | 2020.11.04 |
20.11.02 Mon 자바 기초특강 1 (0) | 2020.1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