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route 204.200.0.0 255.255.255.0 하면 10.0 20.0 30.0을 포함못시킴
255.255.192.0 하면 저 3개를 다 포함시킬수 있는 범위가 된다.
usb포트 파란색이 더빠름 3.0임
show vlan-switch = show vlan bri (가격에 따라 명령어 달라짐 둘이 똑같)
show interface trunk
순서암기 vlan - trunking - ip - routing
VLAN = Virtual LAN
논리적으로 분할된 스위치 네트워크 ; 동적인 조직에서 작업 그룹을 구성할 수 있음.
한 대의 스위치에서 VLAN을 설정, vlan을 설정한 구역끼리만 통신 가능(= 네트워크 구간 나누어짐)
- Data link 계층 상에서 논리적이고 유연한 망을 구성할 수 있는 가상 LAN
-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노드들을 그룹 단위로 묶을 수 있음.
- 라우터 없이 스위치에서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할할 수 있는 방법
- vlan 간에 통신을 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하다
VLAN :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구성하는 가상 네트워크
참고 : https://junior-developer.tistory.com/38
참고 : https://jeongzzang.com/38
3개다 no ip routing
PC1, PC2에 아이피넣어주고 ★no shut★
통신되는거 확인 가능!(같은 방에 있으니까!)
논리적으로 방을 나눈다. 오른쪽은 오른쪽끼리 나누고 왼쪽은 왼쪽끼리 나눈다. 그럼 오른쪽이랑 왼쪽이랑은 통신이 안된다.
나누기전 방이 하나였다는것을 알려면 "show vlan-sw" 명령어 입력.
모든포트가 1번방에 있다는것을 알수 있다.(VLAN1번방의 Fa1/~~~들의 포트 - 디폴트 VLAN1임)
저 Fa1/ 이 Virtual LAN
이제 Fa10/ 과 Fa20/ 방으로 나눈다.
SW1(config)#vlan 10
SW1(config-vlan)#exit
//do show vlan-sw하면 10번방 만들어진거 확인가능.
SW1(config)#int f1/1
SW1(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이제부터 이 단자에는 컴퓨터가 물릴거다 라고 선언하는것.
SW1(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이제 컴퓨터를 10번방에 집어넣을거다.
SW1(config)#int f1/2
SW1(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1(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20
방이 다르면 아이피 덩어리도 달라져야함.
원래 PC1과 2둘다 1.1.10.0 에 속했는데 PC1은 1.1.10.0 , PC2는 1.1.20.0 으로 바꿔준다. 방이 달라졌으니까 바꿔줘야함!
이제 두개는 서로다른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다.
이제 두개를 통신하려면 라우터가 개입해야한다.
라우터를 주면 VLAN10번과 VLAN20번과 지나다니는 길이 다르기 때문에 라우터도 논리적으로 나눠줘야한다.
f1/0는 디폴트 VLAN1번방 소속이다.
이걸 Trunk 단자라고 한다.(10번방 20번방도 전부 모든 VLAN이 다 다니는 단자.)
그래서 이걸 Trunk단자라고 선언한다.
**Trunk 방식 2가지 (태그다는 방식에 따라서 나뉨)
1. dotlq
| 20 | 이더넷 DATA |
이더넷 DATA앞 헤더에 20을 encapsulation한다.
2. isl
Preamble 7byte(101010반복하다가 시작!하면 mac주소 나오는것)
Trunk 관련 규약
<<Tagging Ethernet Frames for VLAN Identification>>
Q Frame
Ethernet Type - 어떤이더넷인지(이더넷종류 다양쓰..)앞에서 구별하고
Pri -
C - 이 프레임의 중요도를 Pri 3bits가지고 따지겠다 (숫자가 높으면 중요한 프레임이다)
1이면토큰링 0이면이더넷
이더넷인지 토큰링인지 구분하겠다
VLAN identifier - 2^12=4096 쓸수있다.
ISL, CRC 4bytes
ISL - cisco방식
Dot1Q(닷원큐) - 국제표준방식 =>우리는 이걸쓴다.(더 가벼워서)
SW1(config)#int f1/9
SW1(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상대 포트와 상관없이 자신은 트렁크 포트로 동작한다
PC1(config-subif)#encap dot1q 10
PC1(config-subif)#ip add 1.1.10.254 255.255.255.0 //1.1.10.1~254를 쓸수있는데 .1은 이미 쓰고있고 게이트웨이는 대부분 마지막 번호를 부여한다.
PC1(config-subif)#exit
PC1(config)#
PC1(config)#ip default-gateway 1.1.10.254 //디폴트 게이트웨이는 1.1.10.254이다.
PC2(config)#int f0/0.20
PC2(config-subif)#encap dot1 20
PC2(config-subif)#ip add 1.1.20.254 255.255.255.0
PC2(config-subif)#exit
SW1(config-if)#int f1/9
SW1(config-if)#sw trunk encapsul dot1q
SW1(config-if)#sw mode trunk
SW1(config-if)#end
SW1#show interface trunk
R1]
conf t
int f0/0
no sh //WAN구간 알아서 돈다 hdlc
exit
int f0/0.10
enc dot 10
ip add 1.1.10.254 255.255.255.0
exit
int f0/0.20
enc dot 20
ip add 1.1.20.254 255.255.255.0
exit
SW1]
conf t
no ip routing
vlan 10
exit
vlan 20
exit
int f1/1
switchport mode access //상대 포트와 상관없이 자신은 액세스 포트로 동작한다.
//switch port에 하나의 VLAN을 할당하여 해당 VLAN끼리만 traffic이 흐를 수 있도록 함
switchport access vlan 10 //Access는 같은 vlan만 통신
exit
int f1/2
switchport mode acccess
switchport access vlan 20
exit
int f1/9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실행하는 명령어로 트렁크를 IEEE 802.1q 표준으로 캡슐화 한다
//이더넷 프레임의 출발지 주소 다음에
//4bytes 길이의 802.1q 태그를 추가하여 VLAN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하나의 포트로 모든 vlan tag가 달리 packet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된 port
//즉, Access Mode에서 나갈 때는 vlan tag가 달리지 않음. Trunk에서는 vlan tag가 달림
//모든 vlan이 갈 수 있는 길
//trunk --> access로 갈 때 vlan tag가 떨어져 나감
//- 지정된 access port로 나갈 때 떨어져 나가는 것
sw mode trunk //상대 포트와 상관없이 자신은 트렁크 포트로 동작한다.
/* 그럼 access로 통신할 때 vlan tag도 없는데 어떻게 구분하느냐?
vlan 간의 통신은 오직 라우팅으로만 통신
같은 vlan인 경우 서로 같은 broadcast domain에 존재하고
ARP 과정에서 같은 네트워크인지 아닌지 알 수 있음. */
PC1]
conf t
no ip routing
ip default-gateway 1.1.10.254
int f0/0
no sh
ip add 1.1.10.1 255.255.255.0
PC2]
conf t
no ip routing
ip default-gateway 1.1.20.254
int f0/0
no sh
ip add 1.1.20.2 255.255.255.0
int range f1/1 , f1/3
switchport mode access
switchport access vlan 10
//오류원인 중 하나
방화벽을 각자 꺼줘야한다.
cmd - firewall.cpl
'네트워크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습 & 트러블슈팅 23.02.24 (0) | 2023.02.24 |
---|---|
웹서버 구축 23.02.23 (0) | 2023.02.23 |
VMware - GNS3실습 23.02.22 (0) | 2023.02.22 |
자동 라우팅 축약 23.02.22 (0) | 2023.02.22 |
트러블슈팅 23.02.22 (0) | 2023.02.22 |
댓글